다양한 동영상 포맷 지원
ASF, AVI, WMV, FLV, MOV, MP3, MP4, MPEG-1, MPEG-4, OGG, WebM 와 같은 동영상 파일을 읽어서 H264 MPEGTS 파일로 인코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여러 종류의 스마트폰과 스마트 패드 등에서 촬영한 동영상과 사운드를 처리하는 것은 물론 각종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핸드폰 등으로 촬영한 동영상과 녹음된 사운드들도 처리가 가능합니다
빠르고 고품질의 H264 인코딩
FFmpeg에 포함된 x264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H264로 인코딩합니다.
x264 라이브러리는 x86 계열의 CPU에서 최고의 성능을 낼 수 있도록 최적화된 것으로 빠르게 동영상을 인코딩 할 수 있습니다.
H264 인코딩 방식 중 화질에 우선을 둔 VBR(Variable Bit Rate)을 기본으로 인코딩하므로 CBR에 비해
보다 나은 품질의 결과물을 제공합니다.
프리셋
동영상을 인코딩 하기 위해서는 많은 파라미터를 정의해야 합니다. 영상의 가로 세로 길이, 코덱, 품질, 압축률, 오디오 코덱, 비트레이트 등의 많은 정보를 지정해야 합니다.
인코딩 작업 마다 이러한 파라미터를 모두 지정하는 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므로 자주 사용되는 형식을 미리 정의해서 사용하면 인코딩이 편리합니다.
탭스 미디어서버에서는 XML 을 사용해 인코딩 파라미터를 미리 정의해 놓을 수 있습니다. 이것을 '프리셋' 이라고 합니다.
프리셋에서는 동영상의 경우 품질, 비트레이트, 인코딩 후 동영상의 가로와 세로 길이, 압축 속도, 영상의 비율 유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오디오의 경우 비트레이트, 채널 수, 샘플 레이트를 지정해서 인코딩이 가능합니다.
자막 인코딩
지정된 자막을 동영상과 합쳐 하나로 인코딩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재생 중 영상 위에 자막을 추가(오버레이) 시켜 재생을 하기도 하며 원본 동영상에 자막을 함께 넣어 하나의 영상으로도 만들 수 있습니다.
프리셋에서 옵션을 추가하면 영상과 자막이 합성되어 인코딩이 됩니다.
이미지 추출
인코딩 도중에 지정된 위치에서 화면을 이미지 파일로 추출해 저장을 할 수 있습니다.
동영상을 재생하는 도중에 지정된 시간(초단위) 마다 이미지로 추출을 한 후 해당 이미지를 지정된 크기로 쎔네일하여 jpg 또는 png 파일로 저장을 합니다.
추출된 이미지 파일은 사이트의 특성에 따라서 동영상을 구분할 수 있는 대표 이미지와 같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프리셋에서는 저장 시 파일 형식(jpg or png), 이미지 파일의 가로 세로 길이, 이미지 추출 시간, 쎔네일 시 원본 비율 유지 또는 강제 조정, 여백 추가 여부, 여백에 칠할 색상 지정이 가능합니다.
미디어 정보 추출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미디어 파일의 정보 추출이 가능합니다.
동영상 파일 형식, 재생 시간, 평균 비트레이트와 비디오 코덱, 크기, 평균 FPS 그리고 오디오 코덱, 샘플 레이트, 채널 수, 비트레이트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인코딩 이후 처리
인코딩 작업이 정상적으로 끝난 경우 포스트 액션 이벤트가 발생합니다.
이 이벤트를 이용해서 완성된 미디어 파일을 원하는 곳으로 이동(copy) 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작업을 '포스트 액션' 이라고 합니다.
인코딩 서버에 장착되어 있는 특정 하드디스크의 폴더 또는 네트워크 내에 지정되어 있는 다른 하드디스크의 폴더로 미디어를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FTP 명령과 HTTP Upload 명령을 이용해서 다른 웹 서버로도 미디어 파일을 보낼 수 있습니다.